추진과정

비주얼 이미지

추진절차

  • 사업공모

    마을 시군
    (전년도)

    사업대상지 공모

    사업 신청

  • 대상지 선정

    +전문가
    (전년도)

    서류+현장 심사

    대상지 확정

  • 사업추진

    마을 + 시군 +전문가
    (사업년도)

    프로그램 운영

    정원조성 사업

    전문가 컨설팅

  • 성과공유

    마을 + 시군 +
    (사업년도)

    마을정원 축제

    스토리북 제작

    성과평가

  • 관리 및 활용

    마을 + 시군
    (지속)

    지속적 정원 가꾸기

    맞춤형 프로그램

사업추진방법

  • 추진협의체 구성·운영

   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협의체 구성하여 추진계획 수립 및 운영

    협의체 : 공동체리더, 공무원, 전문가, 의원 등 업무 역할별 의견도출 및 협의

    협약서 : 공동체 및 시군 간 마을정원 조성 및 유지관리에 대한 상호협약

  • 정원의 조성

    커뮤니티정원 : 마을의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거점 정원 조성

    블록정원 : 커뮤니티 정원과 연계 가능한 소규모 정원 구성

  • 정원문화 프로그램 운영

    정원에 대한 관심 도모와 정원 가꾸기 역량 강화

    활동내용 : 디자인회의, 정원교육, 정원여행, 정원축제, 정원식재 등

    참여대상 : 지속적으로 정원가꾸기 및 문화확산에 참여할 주민, 어린이 등 다양한 계층

  • 마을정원 축제

    커뮤니티 정원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가드닝 및 정원문화 활동 유지

    활동내용 : 정원준공식, 정원 체험교육, 정원음악회, 문화예술 활동 등

  • (道) 마을정원 전문가 컨설팅 운영

    도에서 정원분야 전문가 풀 운영하고 사업단계별 시군·마을에서 활용

    컨설팅분야 : 대상지평가, 정원디자인, 프로그램 계획, 유지관리 방안 등

  • (道) 마을정원 스토리북 제작

    각 마을별 사업과정 전반의 사진과 스토리를 수록하여 道 통합 제작 및 배포

    시군/마을협조 : 수록자료 및 사업 전반 사진 자료 제출

    그간 마을정원 스토리북 : 경기도메모리(주소: https://memory.library.kr)

  • (道) 마을정원 성과평가

    (마을정원 유공표창) 마을정원 추진 유공자에 대한 표창(공무원, 민간인, 단체)
    (우수마을 정원 賞) 조성된 마을정원 중 우수마을 정원 발굴 및 성과공유

    평가내용 : 정원조성 구현 및 정착, 공동체 활동, 지속가능한 유지관리 실천 등

    시상혜택 : 상장, 우수마을 입간판 설치, 우수마을 전문가 컨설팅 풀, 홈페이지 등재

  • 마을정원 유지관리 교육

    조성된 마을공동체의 유지관리 역량강화 교육 및 관리활동 지원

    조성후 1년 : 1천만원 의무지원

    조성후 2년이후 : 시군지원 + 마을자체 운영

  • 마을정원 유지관리(시군 + 마을 통합)

    마을 : 일상적 수시관리 (소규모 식재, 제초, 관목전정 등)

    시군 : 전문적 정기관리 (병해충방제, 시설물보수, 예초, 교목전정 등)

  • 마을정원의 활용(시군 + 마을 통합)

    대상 : 다양한 계층 (어린이, 학생, 시민, 노인, 장애인 등)

    내용 : 정원축제, 공연, 체험, 교육, 치유, 일자리 등

사업추진 주체별 역할

역할구분

교육분야

경기도 사업 총괄 및 사업 추진 관리

사업공모 및 대상지 선정, 전문가 컨설팅 풀 운영지원

사업홍보 및 안내, 우수마을 시상, 기록물 제작 등 성과평가

시군 행정적 지원 및 예산의 집행, 공동체 역량강화 지원

인허가, 공사·용역 감독, 홍보, 도와 협업 등

마을공동체 사업추진 주체 및 책임 관리

신청서 작성, 정원디자인 및 프로그램 운영 기획

정원조성 및 지속적 관리 참여

전문가 전문 분야별 자문

정원디자인, 정원식재, 시설물, 정원프로그램, 공동체운영 등